코로나로 닫혀있던 해외여행이 풀리면서 해외여행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에는 일반적으로 현금보다는 카드 사용이 많습니다. 이에 국내 카드사에서는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해외에서도 원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원화 결제 서비스는 수수료 폭탄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모르고 무심코 이용했다가 예상보다 큰 금액의 수수료 청구서를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소중한 돈이 빠져나가는 일을 막기 위해 미리미리 예방책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데 바로 해외 원화결제 차단서비스 신청입니다. 여기에서는 해외에서 카드결제 시 원화결제를 차단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해외 원화 결제서비스(DCC)란 해외 가맹점에서 현지 통화가 아닌 원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해외 DCC 전문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고객이 대략적인 결제금액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결제금액의 3∼8% 수준)를 추가로 부담해야 합니다. 이는 미국 외 국가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해 달러가 아닌 현지 통화로 결제하더라도 고객에게 청구될 땐 무조건 달러로 환전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비자·마스터 등 국제 브랜드 카드사들이 결제 매입을 달러로 하기 때문에 환전비용이 이중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해외원화 결제 차단 서비스란 해당 카드의 해외 사용을 제한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해외에서 발생한 결제 시도를 차단하고, 해당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국내로 한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거래나 도난 등의 위험으로부터 카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에서 카드 이용 시 원화결제를 차단하여 현지 통화로 결제를 함으로써 이중 환전에 따른 수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국내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를 해외에서 이용하면 국제 브랜드 수수료와 해외 이용 수수료가 붙습니다. 브랜드 수수료는 비자·마스터 카드처럼 국제 카드사가 국내 카드사에 부과하는 브랜드 사용료입니다. 아멕스가 1.4%로 가장 높고, 비자(1.1%), 마스터(1%)가 1% 수준입니다. 여기에 환전 등의 해외 이용 수수료가 더해집니다. 우리 카드는 0.3% 이용 수수료가 붙고, 국민카드(0.25%)를 비롯해 롯데·삼성·하나카드(0.2%) 수수료는 0.2% 안팎입니다.
해외 원화 결제 차단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카드 발급사나 은행에서 해당 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 방법은 각 카드 발급사나 은행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기관의 고객센터나 홈페이지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요 카드사의 해외 원화 결제 차단서비스의 사이트와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다.
KB국민카드 (kbcard.com) 고객센터 1588-1688
신한카드 (shinhancard.com) 고객센터 1544-7000
롯데카드 (lottecard.co.kr) 고객센터 1588-8100
삼성카드 (samsungcard.com) 고객센터 1588-8700
비씨카드 (bccard.com) 고객센터 1588-4000
하나카드 (hanacard.co.kr) 고객센터 1588-1111
그동안 코로나로 억눌렸던 해외여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해외여행을 통하여 직장이나 학업에 쌓인 스트레스도 풀고 재 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은 자신은 물론 가족에게도 중요한 일입니다. 해외여행 시 반드시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는데 이때 조금이라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카드 사용 시 해외에서 원화결제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하여 카드 수수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낭비되는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 쇼핑 후 영수증을 확인해 금액이 원화로 표시되면 취소 후 현지통화로 다시 결제를 요청해야 합니다. 여행 전에 카드사를 통해 해외 원화결제(DCC) 차단 서비스에 가입하면 불필요한 수수료가 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카드사 콜센터나 홈페이지, 앱 등을 통해 간단하게 서비스를 신청·해제할 수 있습니다.
노후긴급자금대출 국민연금실버론 대출자격 및 조건 알아보기 (0) | 2023.04.21 |
---|---|
달러보험을 아시나요? (0) | 2023.04.18 |
고향사랑 기부제란? (0) | 2023.04.13 |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0) | 2023.04.11 |
서민들을 위한 소액생계비 대출 (0) | 2023.04.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