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적인 유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불교의 유산은 보존과 유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불교문화중 특히 불교신자들에게는 너무나 중요하고 꼭 들려봐야 되는 성지인 5대 적멸보궁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적멸보궁이란, 석가모니불이 '화엄경'을 설한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의 적멸도량(寂滅道場)을 뜻하는 전각으로, 불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이곳에서 적멸의 낙을 누리고 있는 곳임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진신인 사리를 모시고 있는 이 불전에는 따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佛壇)만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불사리는 곧 법신불(法身佛)로서의 석가모니 진신이 상주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적멸보궁의 바깥쪽에 사리탑을 세우거나 계단(戒壇)을 만들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불사리를 모신 곳이 많지만 그 중 대표적으로 5대 적멸보궁이 있습니다. ①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 통도사의 적멸보궁, ②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중대(中臺)에 있는 적멸보궁, ③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 봉정암(鳳頂庵)에 있는 적멸보궁, ④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사자산 법흥사(法興寺)에 있는 적멸보궁, ⑤ 강원도 정선군 동면 고한리 태백산 정암사(淨巖寺)의 적멸보궁입니다.
이 중 태백산 정암사의 적멸보궁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라시대에 자장(慈藏, 590-658)이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져온 불사리 및 정골(頂骨)을 직접 봉안한 것이며, 정암사의 보궁에 봉안된 사리는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泗溟大師, 1544-1610)가 왜적의 노략질을 피해서 통도사의 것을 나누어 봉안한 것입니다. 5대 적멸보궁 중 오대산의 것 외에는 사리를 안치한 위치가 분명하지만, 오대산의 보궁은 어느 곳에 불사리가 안치되어 있는지 알려져 있지 않아 그 신비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들 5대 적멸보궁은 불교도의 순례지로서, 또 기도처로서 가장 신봉되고 있는 성지입니다. 이 밖에 비슬산 용연사(龍淵寺)에도 사명대사가 통도사의 사리를 분장(分藏)한 적멸보궁이 있습니다.
통도사는 한국의 5대 열반보궁 중 하나로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입니다. 자장계사는 중국에서 부처님의 옷 일부를 포함한 유물을 가져와 봉안하였습니다.(646C.E). 결과적으로 이 사찰은 한국의 삼보사찰을 대표하는 사찰이자, 영축사를 포함한 전승사찰이기도 합니다. 사찰을 둘러싸고 있는 영축산은 부처님께서 법화경과 통도를 설하신 그드라카투산(Mt. Grdhrakatu)을 닮았으며, 사찰 이름은 '깨달음을 통과하다'라는 뜻입니다. 또한, 모든 승려들은 출가가 이루어지는 사찰의 금강계단(금강계단)을 통과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 경봉선사를 비롯해 많은 유명 승려들이 머물던 선찰입니다.
사원 부지에 들어가기 전에 방문객은 '바람 없는' 소나무 숲으로 이어지는 '바람 없는' 다리를 건너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원에는 경내로 향하는 문 앞에 멋진 급류를 가로지르는 다리가 있습니다. 일주문(일주문)과 대웅전(주불전) 사이에는 수많은 사찰 건물이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사찰화 보존을 전문으로 하는 세계 유일의 통도사 박물관입니다. 건물 수로 따지면 우리나라 최대 사찰인 사찰 내에는 50여 채가 넘는 사찰 건물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대 건물 중 다수는 오늘날에도 과거와 똑같이 보입니다. 사원 경내에는 20개의 작은 암자가 흩어져 있습니다. 통도사 인근의 강계곡과 숲은 생태천국입니다.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에 위치한 적멸보궁은 한국의 문화유산으로, 조선시대에 건립된 보궁입니다. 이곳은 오대산 중대(中臺)에 자리하고 있으며,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적멸보궁은 오대산의 중심인 비로봉과 주변 봉우리가 둘러싸고 있는 분지 가운데 중대의 해발고도 1,189m에 남동향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오대산사적'에는 중대 진여원, 동대 관음암, 남대 지장암, 북대 나한암, 서대 미타암이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중대 사자암 및 상원사, 동대 관음암, 남대 지장암, 북대 미륵암, 서대 염불암이 위치해 있습니다.
오대산은 '삼국유사'와 '오대산사적'등의 문헌기록에 의하면 신라 승려 자장(慈藏)과 연관된 문수보살 및 오대산 신앙의 중심지로 확인되며, 신라 이후 현재까지 법통이 이어져 오고 있는 불교의 성지입니다. 적멸보궁의 뒤 편 봉긋한 부분이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된 곳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석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적멸보궁이 오대산 중대에 위치하고 있고 오대산 신앙의 중심인 점을 고려하여 지정 명칭을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으로 하였습니다.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 위치한 "설악산 봉정암(鳳頂庵)에 있는 적멸보궁"은 봉정암(鳳頂庵)이라 불리는 사찰 내에 자리한 적멸보(積滅報)를 보관하고 있는 곳입니다.
설악산 적멸보궁 봉정암은 선덕여왕 13년(644년)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습니다. 봉정암은 내설악 백담사의 부속 암자로 기암절벽 아래 자리한 백담사에서 대청봉까지 내설악에 최고의 절경을 이룬 용아장성 기암괴석군 속에 있습니다. 봉황이 부처님의 이마로 사라졌다 하여 '봉정암(鳳頂庵)'이라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그러나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과 요사채 뿐입니다. 법당 옆 바위 위에는 보물 제1832호로 지정된 봉정암오층석탑이 있습니다. 이 탑은 자장이 사리를 봉안하였던 때보다 훨씬 후대의 양식을 띠고 있어,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기단부를 따로 조성하지 않고 자연의 암반 위에 그냥 탑신을 안치하였으며, 탑신 자체는 잘 정제되어 조화를 이루고 있는 5층석탑입니다.
봉정암(鳳頂庵)은 설악산(Seoraksan)의 정상 부근에 위치한 사찰로, 선종(禪宗) 불교를 신봉하는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는 다양한 문화재와 불교적인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적멸보(積滅報)라 불리는 보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월에 위치한 법흥사는 태백산맥의 일부인 사자산(四子山)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에 자리하고 있으며, 가장 크고 오래된 사찰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사찰은 원래 643년에 신라 선덕여왕의 재위기 때 자장율사가 흥녕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자장율사는 중국의 오대산으로 가서 간절한 기도 끝에 문수보살의 진신을 친견했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사리 100과와 부처님께서 입으시던 가사 1벌을 당나라에서 가져와 오대산 일대를 다니며 계속해서 기도를 드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법흥사뿐만 아니라 오대산 월정사, 상원사, 설악산 봉정암, 태백산 갈래사 등이 창건되었습니다.
법흥사는 부처님의 진신을 모신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러나 대웅전이 없으며 불상을 모시지 않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법흥사는 여러 번의 화재로 인해 절간이 소실된 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멸보궁은 여전히 남아있어 그 영험이 피부로 느껴집니다. 또한, 법흥사 뒤쪽에는 사리를 모신 것을 상징하는 자물쇠 문양이 새겨진 사리탑과 자장율사가 진신을 모셨다고 전해지는 토굴이 남아있습니다. 토굴은 가로 약 160cm, 높이 약 190cm 정도인 작은 공간으로 주변에 가시덤불이 두르고 있는데, 이곳에서 자장율사가 수도하면서 엄중한 수행을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정암사는 태백산(태백 산맥)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사찰은 소선사(小禪寺)라고도 불리며, 불교 수행과 연구가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태백산 정암사 적멸보궁은 신라 선덕여왕 14년(645)에 당시 고승 자장율사께서 창건하셨다. 자장율사께서 당나라 산서성에 있는 청량산 운제사에서 문수보살님을 친견하시고 석가세존의 정골사리 치아, 불가사, 패엽경 등을 전수하시어 동왕 12년에 귀국하여 14년(을사년)에 금탑, 은탑, 수마토탑을 쌓고 부처님의 사리와 유물을 봉안하였다. 적멸보궁 뒤 높은 곳에 세워진 수마노탑은 자장율사께서 귀국하실 때 서해 용왕이 용궁으로 모시고 가서 주신 마노석으로 탑을 쌓은 것이라 하여 수마노탑이라 합니다. 금탑과 은탑은 후세의 많은 사람들이 귀한 보물에 탐심을 낼까 염려하여 영구히 보존키 위해 비장하셨다 합니다.
정암사는 5대 적멸보궁 중 한곳으로 사찰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눈에 띄는 언덕에 세워진 수마노탑과 적멸보궁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는데 적멸보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최근에 크게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정암사 경내를 흐르는 계곡은 맑은 물에서만 살 수 있는 열목어 서식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불교사리를 소중히 보존하는 5대 적멸보궁을 소개해보았습니다. 이곳들은 우리 불교의 역사와 정신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불교 신자나 문화 애호가들에게는 꼭 방문해 보아야 할 곳입니다. 우리의 불교 유산을 더욱 알아가고, 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초봄 맞이 한중일 아름다운 봄꽃 여행지 소개 (0) | 2024.03.05 |
---|---|
가을맞이 호텔들의 미식 패키지로의 특별한 추억 (1) | 2023.08.25 |
항공권 할인 정보 및 혜택 챙겨 하반기 해외여행 저렴하게 떠나기 (0) | 2023.08.18 |
가 볼만한 숲 여행지, 여름날 숲속으로 떠나는 여행지를 소개합니다. (0) | 2023.08.17 |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대한민국 여권 파워 순위와 그 의미 및 매력 (0) | 2023.07.31 |
댓글 영역